美대선 앞 인플레 부활 우려 … 中부동산發 금융위기도 변수

美대선 앞 인플레 부활 우려 … 中부동산發 금융위기도 변수

노벨상 수상자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교수
견조한 美소비 긍정적이지만
인플레 재발 땐 통제 어려워
금리 더 올리면 경기침체 우려
재정지출 축소 등 대책 세워야
한국, 저출산 대책 올인보다
경제 역동성 강화 주력해야


◆ 2024 전미경제학회 ◆

6b5120574eae595e7c7edb3193ed6d50_1704635727.jpg
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2024 전미경제학회 연례총회에서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교수(왼쪽)가 매일경제 윤원섭 뉴욕 특파원과 인터뷰하고 있다.

"미국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는 인플레이션 재발이다. 일시적 통화 긴축으로 인플레이션이 폭등했던 1970년대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

6일(현지시간) 미국 샌안토니오에서 전미경제학회 연례총회(ASSA)에 참석한 크리스토퍼 심스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미국 경제가 선방할 것으로 전망했다. 단, 인플레이션이 재발하지 않는다는 조건이었다.

심스 교수는 2011년 거시경제에서 원인과 결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로 토머스 사전트 교수와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거시경제학계의 거물이다.

그는 미 경제를 낙관하면서 여전히 견조한 소비와 고용을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올해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재정정책 확장과 부채 확대 등이 간신히 잡힌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고 봤다. 미국은 1970년대 베트남 전쟁 지원을 위해 돈을 마구 찍어냈고, 당시 오일쇼크까지 찾아오면서 물가 통제에 실패했다. 돈을 풀어야 하는 내부 이벤트에 외부 충격까지 더해진 것이다.

심스 교수는 이날 '1950년 이후 미국 인플레이션의 기원'을 주제로 하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50년대에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졌고 이후 1970년대 오일쇼크, 2022년 코로나 대유행 등을 겪으며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 이후 이번 인플레이션은 재정 확장의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만약 올해 인플레이션이 재발된다면 통제가 어려워질 것으로 심스 교수는 내다봤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미 오를 대로 오른 기준금리를 더 올렸다가는 미국의 경기 침체가 불가피해지고, 안 올리자니 인플레이션을 잡을 방법이 없는 딜레마에 빠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금 인상이나 재정지출 감소 정책 중 우선순위를 정해 중장기 인플레이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심스 교수는 강조했다.

미국 재무부 차관보를 역임한 재니스 에벌리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최근 2년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오히려 자산 가격 상승을 부추긴 사례를 들며 '긴축정책의 부작용'을 지적했다.

에벌리 교수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기준금리를 따라 급등한 결과, 주택시장은 매물 품귀 현상으로 거래는 줄고 집값만 2020년 대비 40%나 올랐다"고 말했다. 기존에 낮은 금리로 모기지를 받은 집주인들이 새집으로 갈아타기 위해 더 비싼 이자로 모기지를 받을 엄두를 내지 못하다 보니 집을 팔 마음을 먹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위협과 함께 중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이번 전미경제학회에서 자주 거론됐다.

에벌리 교수는 "중국 자산시장이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다"면서 "국가 부채는 드러난 것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이 기술 추종국에서 혁신국으로 전환하려 하지만 내부의 후진적 정치 시스템으로 난관에 부닥칠 수 있다"고 전했다.

심스 교수 역시 "중국이 과도한 부채와 부동산 대출 부실 등으로 금융시장이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진단하고 "중국이 미국이나 유럽 등 서방 국가와는 경제 시스템이 다르지만 이들 국가의 금융시장 개선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해 심스 교수는 '양날의 칼'이라고 진단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사회보장 비용을 높이고 노동력 감소로 인해 경제를 위축시킬 수 있지만, 인구 증가 역시 사회적 비용을 늘리기 때문이다.

심스 교수는 인구 감소에 대처하려고 애쓰기보다 일본처럼 경제를 활성화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국보다 먼저 저출산의 길을 간 일본이 한때 정체에 빠졌다고 했지만 최근 다시 살아났다"면서 "한국 역시 경제의 역동성과 활동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인구가 감소하더라도 1인당 경제성장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반드시 경제가 인구처럼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전미경제학회에는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를 비롯해 여러 명의 연사가 건강상의 이유로 직전에 불참을 통보했다. 로버트 배로 하버드대 교수와 2023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 서실리아 라우스 프린스턴대 교수(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 캐럴라인 프룬드 UC샌디에이고 교수 등이 불참했다.

[샌안토니오 기획취재팀=윤원섭 뉴욕 특파원 / 홍장원 뉴욕 특파원 / 박윤예 뉴욕 특파원 / 강계만 워싱턴 특파원 / 문가영 기자]

2 Comments
자유인126 01.07 23:00  
한국 저출산 문제는 여군징병제 박에 없다...3년후 철들면 출산율 1000프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