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려움증의 최고봉? 긁을수록 더 가려운 '결절성 소양증'
자유인211
생활문화
1
873
01.06 15:15
[건강이 최고] 생물학적 제제(듀필루맙)·아누스키나제(JAK) 억제제 효과게티이미지뱅크
가려움증은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불쾌하고 흔한 증상이다. 가볍게 생각하기 쉽지만, 막상 가려움증을 겪는 이들에겐 엄청난 고통이다. 가벼운 접촉이나 온도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같은 일상생활 속 흔한 자극에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가려운 질환의 최고봉’으로 불리는 ‘결절성 소양증(結節性 搔癢症·prurigo nodlaris)’은 상상을 뛰어넘는 가려움으로 악명 높다. 심하면 피부를 긁는 수준을 넘어 후벼 파야 할 정도의 고통이 뒤따른다. 김혜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피부과 교수의 도움말로 ‘결절성 소양증’을 알아본다.
결절성 소양증은 심한 가려움이 동반된 다수의 결절(단단한 덩어리)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원인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해 빈혈·간 질환·갑상선 질환·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임신·만성콩팥병·정신적인 스트레스·곤충 물림(교상) 등이 먼저 나타날 수 있다.
결절성 소양증 유병률은 피부과 외래 환자 1,000명 당 4.82명으로 추산된다. 의료보험이 있는 18~64세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도 유병률이 10만 명당 72명으로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으면 평균 20세에 일찍 발병하고, 없으면 평균 50세에 늦게 발생한다. 다만 최근 중·장년층 인구가 늘면서 결절성 소양증 유병률이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다.
증상은 수㎜에서 2㎝ 정도의 붉은색 또는 갈색 결절이 팔다리나 등 상부, 엉덩이에 잘 생긴다. 가려움은 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피부를 긁는 수준을 넘어 후벼 파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해당 부위의 2차 감염으로 더 가려워지는 악순환이 생긴다.
김혜성 교수는 “가려움은 자려고 누웠을 때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술 마신 후, 덥거나 피부가 건조할 때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했다.
결절성 소양증은 임상적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른 질환과의 감별과 기저 질환 확인을 위해 우선 자세한 병력이나 약물 복용 여부를 묻는 게 일반적이다. 이 밖에 곰팡이균 도말 검사(KOH), 옴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피부 조직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절성 소양증은 피부를 긁으면 결절이 더 커지고 가려움이 악화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초기에 가려움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 조절에 많이 사용되는 약이지만 결절성 소양증의 극심한 가려움을 조절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결절성 소양증 환자는 그동안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 조절제, 신경 전달 체계를 조절하는 가바펜틴이나 아미트립틸린 등을 많이 복용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인 듀필루맙과 여러 염증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아누스키나제(JAK) 억제제가 개발돼 결절성 소양증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특히 듀필루맙은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18세 이상의 중등도·중증 결절성 소양증 환자 치료제로 적응증을 인정받았다.
결절성 소양증이 생기면 되도록 피부에 손을 대지 않는 게 중요하다. 약물 치료와 함께 피부를 차갑게 하는 쿨링 효과를 위해 가려움을 완화하는 도포제(바르는 약)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실내 온도는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고 면 소재의 옷을 입고 가벼운 샤워 후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주는 게 좋다. 술, 담배, 사우나, 때 밀기, 뜨거운 음료나 매운 음식도 가려움을 악화시킬 수 있다.
김혜성 교수는 “결절성 소양증 환자들은 불안·우울을 함께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다”며 “강박증이나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당뇨병, 갑상선 질환, 빈혈, 고형암이나 혈액암이 동반된 경우도 종종 확인되는 만큼 이에 대한 확인이나 치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가려움증은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불쾌하고 흔한 증상이다. 가볍게 생각하기 쉽지만, 막상 가려움증을 겪는 이들에겐 엄청난 고통이다. 가벼운 접촉이나 온도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같은 일상생활 속 흔한 자극에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가려운 질환의 최고봉’으로 불리는 ‘결절성 소양증(結節性 搔癢症·prurigo nodlaris)’은 상상을 뛰어넘는 가려움으로 악명 높다. 심하면 피부를 긁는 수준을 넘어 후벼 파야 할 정도의 고통이 뒤따른다. 김혜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피부과 교수의 도움말로 ‘결절성 소양증’을 알아본다.
◇피부 긁는 수준 넘어 후벼 파기도
결절성 소양증은 심한 가려움이 동반된 다수의 결절(단단한 덩어리)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원인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해 빈혈·간 질환·갑상선 질환·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임신·만성콩팥병·정신적인 스트레스·곤충 물림(교상) 등이 먼저 나타날 수 있다.
결절성 소양증 유병률은 피부과 외래 환자 1,000명 당 4.82명으로 추산된다. 의료보험이 있는 18~64세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도 유병률이 10만 명당 72명으로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으면 평균 20세에 일찍 발병하고, 없으면 평균 50세에 늦게 발생한다. 다만 최근 중·장년층 인구가 늘면서 결절성 소양증 유병률이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다.
증상은 수㎜에서 2㎝ 정도의 붉은색 또는 갈색 결절이 팔다리나 등 상부, 엉덩이에 잘 생긴다. 가려움은 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피부를 긁는 수준을 넘어 후벼 파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해당 부위의 2차 감염으로 더 가려워지는 악순환이 생긴다.
김혜성 교수는 “가려움은 자려고 누웠을 때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술 마신 후, 덥거나 피부가 건조할 때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했다.
◇긁으면 결절 커지고 가려움 더 악화
결절성 소양증은 임상적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른 질환과의 감별과 기저 질환 확인을 위해 우선 자세한 병력이나 약물 복용 여부를 묻는 게 일반적이다. 이 밖에 곰팡이균 도말 검사(KOH), 옴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피부 조직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절성 소양증은 피부를 긁으면 결절이 더 커지고 가려움이 악화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초기에 가려움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 조절에 많이 사용되는 약이지만 결절성 소양증의 극심한 가려움을 조절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결절성 소양증 환자는 그동안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 조절제, 신경 전달 체계를 조절하는 가바펜틴이나 아미트립틸린 등을 많이 복용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인 듀필루맙과 여러 염증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아누스키나제(JAK) 억제제가 개발돼 결절성 소양증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특히 듀필루맙은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18세 이상의 중등도·중증 결절성 소양증 환자 치료제로 적응증을 인정받았다.
결절성 소양증이 생기면 되도록 피부에 손을 대지 않는 게 중요하다. 약물 치료와 함께 피부를 차갑게 하는 쿨링 효과를 위해 가려움을 완화하는 도포제(바르는 약)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실내 온도는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고 면 소재의 옷을 입고 가벼운 샤워 후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주는 게 좋다. 술, 담배, 사우나, 때 밀기, 뜨거운 음료나 매운 음식도 가려움을 악화시킬 수 있다.
김혜성 교수는 “결절성 소양증 환자들은 불안·우울을 함께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다”며 “강박증이나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당뇨병, 갑상선 질환, 빈혈, 고형암이나 혈액암이 동반된 경우도 종종 확인되는 만큼 이에 대한 확인이나 치료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