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적 물가·반노동 정책… 아르헨, 극우 대통령 취임 45일 만에 '총파업'
자유인253
세계
3
715
01.26 00:10
'아르헨 트럼프' 밀레이, 과격 정책 펴 논란
노동조합 약화 등 법령 600개 개정 추진도
"새 정부 출범 후 역대 가장 빠른 총파업"아르헨티나에서 총파업이 일어난 24일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의사당 앞으로 몰려들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EPA 연합뉴스
아르헨티나의 주요 노동단체 3곳이 24일(현지시간) 공동으로 대규모 총파업에 나섰다. 지난달 10일 극우 성향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취임으로 새 정부가 들어선 지 불과 45일 만이다. 직접적 계기는 최근 노동조합 약화 방안을 담은 '옴니버스 법안' 추진이지만, 정부 지출을 대폭 삭감하는 과격한 경제 정책과 반(反)노동 법령 등을 밀어붙이는 데 대한 반발이 한꺼번에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AP통신은 이날 "밀레이 대통령이 경제·노동법 개정안에 항의하는 노동계의 총파업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최대 노동단체인 전국노동자총연맹(CGT)이 주도하고, 아르헨티나자치노동자연맹(CTA-A)과 아르헨티나노동자연맹(CTA-T) 등이 참여한 이날 총파업은 정오부터 자정까지 12시간 동안 한시적으로 이뤄졌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은행·병원·우체국·항공사 등 여러 부문이 마비되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됐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전국 곳곳에선 시민들이 거리 행진을 하며 정부를 규탄했다. 경찰은 시위대 규모를 8만 명으로, CGT는 150만 명으로 각각 추산했다. CGT는 성명을 내고 "위헌적인 긴급 대통령령(DNU), 600개 이상 법률을 개정하려는 정부 구상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사회는 대화와 합의를 통해 변화한다"고 밝혔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17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54회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다보스=로이터 연합뉴스
밀레이 정부는 200%를 웃도는 살인적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등 극심한 위기에 빠진 아르헨티나 경제를 되살리겠다며 출범 직후부터 극단적인 충격 요법을 내놓았다. 366개 경제 규제를 철폐하는 '메가 대통령령'(DNU 70/2023)을 발표한 게 대표적이다. 노동조합 약화·국영기업 민영화 등 664개 조항을 담은 '옴니버스 법안'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한 일방적 개혁은 광범위한 반발을 샀고, 결국 정권 출범 50일도 안 돼 총파업에 직면했다. 중남미 매체 인포바에는 "(아르헨티나 민주화가 이뤄진) 1983년 이후 역대 가장 이른 시점에 총파업을 겪게 된 새 정부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10일 취임한 경제학자 출신 밀레이 대통령은 '아르헨티나의 트럼프' '엘 로코(El Loco·광인)'로 불릴 정도로 과격한 극우 성향이다. 대선 유세 현장에 "정부 지출을 확 줄여야 한다"며 전기톱을 들고 등장해 '전기톱맨'으로도 불렸다. 새 정부를 꾸리자마자 △정부 부처 축소(18개→9개) △페소화 54% 평가절하 등 파격적 경제 정책을 펼쳤지만, 오히려 물가는 더 급등해 반정부 시위가 잇따랐다. 영국 가디언은 "밀레이가 전임자들을 탓하며 '경제 지옥'에서 아르헨티나를 구하겠다고 했으나, 그의 취임 이후 국민들 고통은 더 심해졌다"고 지적했다.
다만 밀레이 대통령 개인의 지지율은 아직 굳건하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지난 15일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해 "아르헨티나 국민의 58%가 그를 지지하는데, 이는 지난해 11월 대선 득표율(55.7%)보다 약 2%포인트 높다"고 설명했다.
노동조합 약화 등 법령 600개 개정 추진도
"새 정부 출범 후 역대 가장 빠른 총파업"아르헨티나에서 총파업이 일어난 24일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의사당 앞으로 몰려들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EPA 연합뉴스
아르헨티나의 주요 노동단체 3곳이 24일(현지시간) 공동으로 대규모 총파업에 나섰다. 지난달 10일 극우 성향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취임으로 새 정부가 들어선 지 불과 45일 만이다. 직접적 계기는 최근 노동조합 약화 방안을 담은 '옴니버스 법안' 추진이지만, 정부 지출을 대폭 삭감하는 과격한 경제 정책과 반(反)노동 법령 등을 밀어붙이는 데 대한 반발이 한꺼번에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AP통신은 이날 "밀레이 대통령이 경제·노동법 개정안에 항의하는 노동계의 총파업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최대 노동단체인 전국노동자총연맹(CGT)이 주도하고, 아르헨티나자치노동자연맹(CTA-A)과 아르헨티나노동자연맹(CTA-T) 등이 참여한 이날 총파업은 정오부터 자정까지 12시간 동안 한시적으로 이뤄졌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은행·병원·우체국·항공사 등 여러 부문이 마비되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됐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전국 곳곳에선 시민들이 거리 행진을 하며 정부를 규탄했다. 경찰은 시위대 규모를 8만 명으로, CGT는 150만 명으로 각각 추산했다. CGT는 성명을 내고 "위헌적인 긴급 대통령령(DNU), 600개 이상 법률을 개정하려는 정부 구상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사회는 대화와 합의를 통해 변화한다"고 밝혔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17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54회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다보스=로이터 연합뉴스
밀레이 정부는 200%를 웃도는 살인적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등 극심한 위기에 빠진 아르헨티나 경제를 되살리겠다며 출범 직후부터 극단적인 충격 요법을 내놓았다. 366개 경제 규제를 철폐하는 '메가 대통령령'(DNU 70/2023)을 발표한 게 대표적이다. 노동조합 약화·국영기업 민영화 등 664개 조항을 담은 '옴니버스 법안'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한 일방적 개혁은 광범위한 반발을 샀고, 결국 정권 출범 50일도 안 돼 총파업에 직면했다. 중남미 매체 인포바에는 "(아르헨티나 민주화가 이뤄진) 1983년 이후 역대 가장 이른 시점에 총파업을 겪게 된 새 정부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10일 취임한 경제학자 출신 밀레이 대통령은 '아르헨티나의 트럼프' '엘 로코(El Loco·광인)'로 불릴 정도로 과격한 극우 성향이다. 대선 유세 현장에 "정부 지출을 확 줄여야 한다"며 전기톱을 들고 등장해 '전기톱맨'으로도 불렸다. 새 정부를 꾸리자마자 △정부 부처 축소(18개→9개) △페소화 54% 평가절하 등 파격적 경제 정책을 펼쳤지만, 오히려 물가는 더 급등해 반정부 시위가 잇따랐다. 영국 가디언은 "밀레이가 전임자들을 탓하며 '경제 지옥'에서 아르헨티나를 구하겠다고 했으나, 그의 취임 이후 국민들 고통은 더 심해졌다"고 지적했다.
다만 밀레이 대통령 개인의 지지율은 아직 굳건하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지난 15일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해 "아르헨티나 국민의 58%가 그를 지지하는데, 이는 지난해 11월 대선 득표율(55.7%)보다 약 2%포인트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