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부자 가문 1위 삼성家, 아시아에선 몇등?…작년보다 2위 하락했다는데 [투자360]
자유인297
경제
3
761
01.29 09:36
블룸버그 아시아 부호 가문 20위…1위는 인도 암바니 일가[연합]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국내 1위 부자 가문으로 알려진 삼성가(家)의 자산이 아시아에서 12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재벌 중에선 아시아 부호 상위 20위권에 삼성가만 유일하게 포함됐다.
29일 미국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시아 부호 가문 상위 20곳이 보유한 재산은 지난 24일 현재 5340억달러(약 714조4900억원)로 집계됐다.
이중 삼성 일가가 보유한 재산은 182억달러(약 24조3500억원)로 아시아 상위 12위였다. 작년(185억달러)에 비하면 2계단 하락한 수준이다.
삼성가는 앞서 2019년(285억달러)과 2020년(266억달러)에는 아시아 부호 상위 5위를 차지했으나 2022년 15위(163억달러)로 떨어졌다.
인도 최대 석유·통신 대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를 지배하는 암바니 가문이 작년에 이어 아시아 부호 1위 자리를 지켰다. 암바니 일가의 보유 재산은 1027억달러다.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회장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알려진 27층짜리 호화 저택에 거주하고 있다.
2위는 인도네시아 담배회사인 자룸과 BCA은행 등을 소유한 하르토노 가문(448억달러)이다.
3위는 인도 건설업체 사푸르지 팔론지 그룹을 운영하는 미스트리 가문(362억달러)으로 작년 대비 순위가 한 계단 올랐다.
홍콩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순훙카이를 이끄는 궈(郭) 가문(323억달러)과 태국 대기업 CP그룹을 이끄는 체라와논 가문(312억달러)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이어 에너지 음료 레드불 제조사인 태국 TCP 그룹의 유위티야 가문(302억달러), 인도의 철강·에너지 기업 OP진달 그룹의 진달 가문(276억달러)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집계에서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 본토의 재벌 가문이 상위 20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블룸버그는 “이는 중국의 성장이 둔화하면서 아시아의 부와 권력의 집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라며 “인도 주식시장이 홍콩을 제치고 세계 4위 주식시장이 되는 등 인도가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는 창업주 마윈(馬雲)이 이끄는 알리바바 그룹 등 1세대 기업과 단일 후계자 기업은 제외됐다.
한편,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5일 종가 기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분평가액 13조8110억원으로 국내 주식 부호 1위를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선대 회장의 배우자와 자녀들이 국내 주식 부호 순위 최상위를 사실상 꿰차고 있었다.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7조4772억원으로 이재용 회장의 뒤를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고,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5조9136억원)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1209억원)이 4·5위를 차지했다.
특이 사항은 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이 지분평가액 6조896억원으로 3위에 오르며 삼성가 일원의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었다.
오랜 기간 1~4위를 삼성가 일원들이 차지하고 있었지만, 지난 11일 있었던 홍라희 전 관장,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의 상속세 납부액 마련을 위한 계열사 지분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의 여파가 국내 주식부호 순위 지각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국내 1위 부자 가문으로 알려진 삼성가(家)의 자산이 아시아에서 12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재벌 중에선 아시아 부호 상위 20위권에 삼성가만 유일하게 포함됐다.
29일 미국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시아 부호 가문 상위 20곳이 보유한 재산은 지난 24일 현재 5340억달러(약 714조4900억원)로 집계됐다.
이중 삼성 일가가 보유한 재산은 182억달러(약 24조3500억원)로 아시아 상위 12위였다. 작년(185억달러)에 비하면 2계단 하락한 수준이다.
삼성가는 앞서 2019년(285억달러)과 2020년(266억달러)에는 아시아 부호 상위 5위를 차지했으나 2022년 15위(163억달러)로 떨어졌다.
인도 최대 석유·통신 대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를 지배하는 암바니 가문이 작년에 이어 아시아 부호 1위 자리를 지켰다. 암바니 일가의 보유 재산은 1027억달러다.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회장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알려진 27층짜리 호화 저택에 거주하고 있다.
2위는 인도네시아 담배회사인 자룸과 BCA은행 등을 소유한 하르토노 가문(448억달러)이다.
3위는 인도 건설업체 사푸르지 팔론지 그룹을 운영하는 미스트리 가문(362억달러)으로 작년 대비 순위가 한 계단 올랐다.
홍콩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순훙카이를 이끄는 궈(郭) 가문(323억달러)과 태국 대기업 CP그룹을 이끄는 체라와논 가문(312억달러)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이어 에너지 음료 레드불 제조사인 태국 TCP 그룹의 유위티야 가문(302억달러), 인도의 철강·에너지 기업 OP진달 그룹의 진달 가문(276억달러)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집계에서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 본토의 재벌 가문이 상위 20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블룸버그는 “이는 중국의 성장이 둔화하면서 아시아의 부와 권력의 집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라며 “인도 주식시장이 홍콩을 제치고 세계 4위 주식시장이 되는 등 인도가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는 창업주 마윈(馬雲)이 이끄는 알리바바 그룹 등 1세대 기업과 단일 후계자 기업은 제외됐다.
한편,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5일 종가 기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분평가액 13조8110억원으로 국내 주식 부호 1위를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선대 회장의 배우자와 자녀들이 국내 주식 부호 순위 최상위를 사실상 꿰차고 있었다.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7조4772억원으로 이재용 회장의 뒤를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고,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5조9136억원)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1209억원)이 4·5위를 차지했다.
특이 사항은 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이 지분평가액 6조896억원으로 3위에 오르며 삼성가 일원의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었다.
오랜 기간 1~4위를 삼성가 일원들이 차지하고 있었지만, 지난 11일 있었던 홍라희 전 관장,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의 상속세 납부액 마련을 위한 계열사 지분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의 여파가 국내 주식부호 순위 지각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