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도 고령화'…60대 이상 유권자, 20·30대보다 많아졌다
자유인114
사회
95
746
01.10 14:27
2020년 총선보다 노인층 늘었지만, 10∼50대는 감소
'선거도 고령화'…60대 이상 유권자, 20·30대보다 많아졌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올해 4월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대보다 많아졌다.
10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오는 4월 총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18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4천438만여명이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19.59%로 가장 많고, 40대가 17.85%로 뒤를 따랐다.
60대는 17.19%, 70대 이상은 14.24%로, 60대 이상 인구가 31.43%에 달한다.
30대와 20대는 각각 14.82%, 13.96%로 집계됐다. 10대인 18∼19세 인구는 2.34%를 차지했다.
20대와 30대를 합친 인구는 28.78%로 60대 이상(31.43%)보다 적다.
오는 4월 총선은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대 유권자보다 많은 국회의원 선거가 된다는 얘기다.
2020년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하면 60대와 70대 이상의 비중은 각각 2.54%포인트, 1.57%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20대는 1.5%포인트, 30대는 1.09%포인트 낮아지는 등 10∼50대 비중은 감소했다.
18세 이상 연령대별 인구수 및 제21대 국회의원 연령대별 비중 비교 그래프 [행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1대 총선 때는 60대 이상의 비중이 27.32%로, 20·30대 비중(31.37%)에 미치지 못했다.
통상 노년층의 투표율은 젊은 층의 투표율보다 높다.
노년층 유권자가 젊은 층보다 많아지는데, 투표율마저 더 높다면 노년층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이 젊은 층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그럴 경우 정치권이 노년층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해 정년 연장, 기초연금 증액 등 노년층의 입맛에 맞는 정책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젊은 층이 상대적으로 소외를 겪을 수 있어,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통계 결과에 따른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각 부처에서 참고해 추후 정책 수립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18세 이상 연령대별 인구수 및 제21대 국회의원 연령대별 비중 비교 표]
(단위 : 명, %)
[email protected]
'선거도 고령화'…60대 이상 유권자, 20·30대보다 많아졌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올해 4월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대보다 많아졌다.
10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오는 4월 총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18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4천438만여명이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19.59%로 가장 많고, 40대가 17.85%로 뒤를 따랐다.
60대는 17.19%, 70대 이상은 14.24%로, 60대 이상 인구가 31.43%에 달한다.
30대와 20대는 각각 14.82%, 13.96%로 집계됐다. 10대인 18∼19세 인구는 2.34%를 차지했다.
20대와 30대를 합친 인구는 28.78%로 60대 이상(31.43%)보다 적다.
오는 4월 총선은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대 유권자보다 많은 국회의원 선거가 된다는 얘기다.
2020년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하면 60대와 70대 이상의 비중은 각각 2.54%포인트, 1.57%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20대는 1.5%포인트, 30대는 1.09%포인트 낮아지는 등 10∼50대 비중은 감소했다.
21대 총선 때는 60대 이상의 비중이 27.32%로, 20·30대 비중(31.37%)에 미치지 못했다.
통상 노년층의 투표율은 젊은 층의 투표율보다 높다.
노년층 유권자가 젊은 층보다 많아지는데, 투표율마저 더 높다면 노년층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이 젊은 층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그럴 경우 정치권이 노년층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해 정년 연장, 기초연금 증액 등 노년층의 입맛에 맞는 정책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젊은 층이 상대적으로 소외를 겪을 수 있어,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통계 결과에 따른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각 부처에서 참고해 추후 정책 수립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18세 이상 연령대별 인구수 및 제21대 국회의원 연령대별 비중 비교 표]
(단위 : 명,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