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이선균 수사정보 유출 경위 진상규명 필요”… 문화예술인 공동 성명서
자유인72
생활문화
58
903
01.12 16:12
봉 감독, 윤종신 작곡가 등 이선균 사건 진상규명 촉구
‘사이버 렉카’ 병폐 지적…언론의 무분별한 보도 꼬집어
‘이선균 방지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장 취재진 가득 메워
봉준호 감독과 윤종신 작곡가 겸 가수 등 문화예술인들은 배우 이선균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가 숨진 사건과 관련, 수사 정보 노출이 적법했는지 조사해 공개할 것과 피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법의 제·개정을 요구했다.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에 대한 자성도 촉구했다.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는 영화 ‘기생충’ 등으로 이선균과 인연을 맺은 봉 감독과 배우 김의성, 윤종신, 이원태 감독이 돌아가며 낭독했다.
김의성은 “지난 10월19일 한 일간지에 배우 L씨의 마약과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내사 중이라는 인천시경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최초 보도 이후 10월23일 그가(이선균) 정식 입건된 때로부터 2개월여의 기간 동안 그는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언론과 미디어에 노출되었다”면서 “시약 채취부터 음성 판정까지의 전 과정이, 세 차례에 걸친 경찰 소환 조사에 출석하는 모습이 모두 언론을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사건 관련성과 증거 능력 유무조차 판단이 어려운 녹음 파일이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봉 감독은 “고인의 수사에 관한 정보가 최초 유출된 때부터 극단적 선택이 있기까지 2개월여 동안 경찰의 보안에 한치의 문제가 없었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봉 감독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 감정 결과 음성 판정이 난 지난 11월24일 KBS 단독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인이 3번째 소환조사에서 19시간의 밤샘 수사에도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한 후이자 사망 전날인 12월26일의 언론 보도도 문제 삼았다.
봉 감독은 이선균에 대한 경찰의 3차례의 소환 출석 정보 공개와 신변 노출에 대한 경찰의 무대응이 적법한지에 대해 명확히 밝혀달라며, 그래야 제2, 제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종신은 이선균의 사생활이 담긴 녹음 파일을 공개한 KBS 보도를 언급하며 “혐의 사실과는 동떨어진 사적 대화에 관한 고인의 음성을 보도에 포함한 KBS는 공영방송의 명예를 걸고 오로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보도였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라고 물으며, 국민의 알 권리라는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매체의 기사 삭제를 요구했다.
이어 “대중문화예술인이 대중의 인기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검증되지 않는 소스를 흘리거나, 충분한 취재나 확인 절차 없이 이슈화에만 급급한 일부 유튜버를 포함한 황색 언론들, 이른바 ‘사이버 렉카’의 병폐에 대해 우리는 언제까지 침묵해야 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와 국회에는 형사 사건 공개 금지와 인권 보호를 위한 관련 법령을 제·개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원태 감독은 “설령 수사당국의 절차가 적법했다고 해도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사건에 침묵하면 안 될 것”이라면서 “피의자 인권과 국민의 알 권리 사이에서 원칙과 예외가 뒤바뀌는 일이 없도록, 수사당국이 법의 취지를 자의적으로 해석·적용하는 일이 없도록 명확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대회의는 성명서를 김진표 국회의장과 경찰청, KBS에 전달할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이선균 사망 후 문화예술인들 사이에서 수사·보도 과정에 관한 문제 제기 필요성이 거론되고 이 같은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결성됐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단체 29곳이 참여했다.
성명서는 이들 단체를 비롯해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배우 송강호 등 영화계 종사자 2000여명이 뜻을 모아 만들었으며, 이날 행사에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 한국영화감독조합 장항준 감독 등 12개 단체의 대표가 함께 참석했다.
연대회의는 향후 형사 피의자의 인권 침해를 막는 속칭 ‘이선균 방지법’을 제정하고, 문화예술인의 인권 보호를 위해 구성원들과 계속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연대회의는 이날 취재진의 질문은 받지 않았다. 이 자리에는 국내 언론과 외신 기자 약 300명이 몰리며 회견장을 가득 메웠다.
이선균은 마약을 투약한 혐의로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를 받다가 지난해 12월27일 성북구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수사 과정에서 억울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으며, 사망 전날에는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요구했다. 경찰이 세 차례 진행한 마약 투약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 나왔다.
‘사이버 렉카’ 병폐 지적…언론의 무분별한 보도 꼬집어
‘이선균 방지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장 취재진 가득 메워
봉준호 감독과 윤종신 작곡가 겸 가수 등 문화예술인들은 배우 이선균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가 숨진 사건과 관련, 수사 정보 노출이 적법했는지 조사해 공개할 것과 피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법의 제·개정을 요구했다.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에 대한 자성도 촉구했다.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했다.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배우 김의성(앞줄 왼쪽부터), 영화감독 봉준호, 가수 윤종신, 영화감독 이원태가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
김의성은 “지난 10월19일 한 일간지에 배우 L씨의 마약과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내사 중이라는 인천시경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최초 보도 이후 10월23일 그가(이선균) 정식 입건된 때로부터 2개월여의 기간 동안 그는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언론과 미디어에 노출되었다”면서 “시약 채취부터 음성 판정까지의 전 과정이, 세 차례에 걸친 경찰 소환 조사에 출석하는 모습이 모두 언론을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사건 관련성과 증거 능력 유무조차 판단이 어려운 녹음 파일이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봉 감독은 “고인의 수사에 관한 정보가 최초 유출된 때부터 극단적 선택이 있기까지 2개월여 동안 경찰의 보안에 한치의 문제가 없었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봉 감독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 감정 결과 음성 판정이 난 지난 11월24일 KBS 단독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인이 3번째 소환조사에서 19시간의 밤샘 수사에도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한 후이자 사망 전날인 12월26일의 언론 보도도 문제 삼았다.
봉 감독은 이선균에 대한 경찰의 3차례의 소환 출석 정보 공개와 신변 노출에 대한 경찰의 무대응이 적법한지에 대해 명확히 밝혀달라며, 그래야 제2, 제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종신은 이선균의 사생활이 담긴 녹음 파일을 공개한 KBS 보도를 언급하며 “혐의 사실과는 동떨어진 사적 대화에 관한 고인의 음성을 보도에 포함한 KBS는 공영방송의 명예를 걸고 오로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보도였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라고 물으며, 국민의 알 권리라는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매체의 기사 삭제를 요구했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한 문화예술인들이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성명서 발표를 위해 연단에 도열해 있다. 뉴스1 |
정부와 국회에는 형사 사건 공개 금지와 인권 보호를 위한 관련 법령을 제·개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원태 감독은 “설령 수사당국의 절차가 적법했다고 해도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사건에 침묵하면 안 될 것”이라면서 “피의자 인권과 국민의 알 권리 사이에서 원칙과 예외가 뒤바뀌는 일이 없도록, 수사당국이 법의 취지를 자의적으로 해석·적용하는 일이 없도록 명확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대회의는 성명서를 김진표 국회의장과 경찰청, KBS에 전달할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이선균 사망 후 문화예술인들 사이에서 수사·보도 과정에 관한 문제 제기 필요성이 거론되고 이 같은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결성됐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단체 29곳이 참여했다.
성명서는 이들 단체를 비롯해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배우 송강호 등 영화계 종사자 2000여명이 뜻을 모아 만들었으며, 이날 행사에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 한국영화감독조합 장항준 감독 등 12개 단체의 대표가 함께 참석했다.
연대회의는 향후 형사 피의자의 인권 침해를 막는 속칭 ‘이선균 방지법’을 제정하고, 문화예술인의 인권 보호를 위해 구성원들과 계속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연대회의는 이날 취재진의 질문은 받지 않았다. 이 자리에는 국내 언론과 외신 기자 약 300명이 몰리며 회견장을 가득 메웠다.
이선균은 마약을 투약한 혐의로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를 받다가 지난해 12월27일 성북구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수사 과정에서 억울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으며, 사망 전날에는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요구했다. 경찰이 세 차례 진행한 마약 투약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