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공무원, 대기업으로 줄줄이 떠난다
자유인274
사회
75
765
2023.11.20 13:14
오늘은 청사로 출근하지만…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핵심 정부부처 공무원들이 공직을 떠나 민간으로 대거 이탈하고 있다. 특히 산업부의 경우 2019년 15명이었던 이직 공무원이 올해는 벌써 27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 공무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 ‘에이스급’ 이른 퇴직 러시
최근 5년 산업부 108명 떠나
업무 과다·박봉·워라밸 열악
정권교체 따른 리스크 부담도
기업에서도 과장급 이하 선호
“보석 같은 친구인데 (민간에 가서도)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조만간 삼성전자 부장급으로 떠나는 산업통상자원부 A 서기관. 행정고시 출신으로 부처 내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공무원 중에서도 ‘에이스’로 꼽히던 A 서기관의 이직을 바라보는 산업부 선후배·동료 공무원들의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고위 공직자들이 임기를 마친 뒤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다수였던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A 서기관처럼 젊고 유능한 공무원들이 일찌감치 짐을 싸는 경우가 급증하는 추세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양금희(국민의힘) 의원이 산업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산업부를 떠난 공무원은 총 108명에 이르고 2019년 15명, 2020년 14명 수준이던 이직자 수는 2021년 25명, 2022년 27명, 올 9월 현재 27명으로 크게 늘었다. 상당수가 서기관이나 부이사관 등 국장이 되기 전인 3, 4급 공무원들로 올해만 해도 산업부 B 서기관이 한화에너지 전무로, C 부이사관이 현대자동차 상무로, D 서기관이 법무법인 세종 전문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 공무원들의 이직 러시도 만만치 않다. 최근 대통령실 선임행정관까지 역임한 E 부이사관이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식에 기재부 내부가 크게 술렁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근무하던 E 부이사관의 부인 역시 남편에 앞서 민간으로 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영선(국민의힘) 의원이 기재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그만둔 기재부 직원은 129명에 이른다. 2019년 28명, 2020년 22명, 2021년 32명, 2022년 28명, 올 8월 19명 등으로 매년 20∼30명씩 기재부를 떠나고 있다. 특히 이 기간 재직 1년 미만 공무원의 퇴직이 4명, 1∼3년 미만 퇴직이 5명, 3∼5년 미만 퇴직이 3명, 5∼10년 미만 퇴직이 10명 등으로 이른 중도 퇴직자 수가 상당하다.
기재부·산업부 등 엘리트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부처 직원들의 ‘엑소더스’가 가속화하는 것은 이들 부처가 업무량이 과도하고 정권에 따라 부침이 심한 반면, 급여나 워라밸 등 근무 조건은 열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부의 경우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감사·수사가 연달아 이뤄졌고 해임된 경우까지 나왔다.
국토교통부도 ‘에이스’들이 모인다는 주택 분야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통계 조작 의혹에 연루돼 잘나가던 1급(차관보급) 공무원 2명이 ‘직위해제’ 되는 등 된서리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 관가에서는 “국비 유학 등 사실상 세금으로 키운 인력이 대거 민간으로 빠져나가는 만큼 정부 정책 역량이 퇴보할 우려가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에이스급’ 이른 퇴직 러시
최근 5년 산업부 108명 떠나
업무 과다·박봉·워라밸 열악
정권교체 따른 리스크 부담도
기업에서도 과장급 이하 선호
조만간 삼성전자 부장급으로 떠나는 산업통상자원부 A 서기관. 행정고시 출신으로 부처 내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공무원 중에서도 ‘에이스’로 꼽히던 A 서기관의 이직을 바라보는 산업부 선후배·동료 공무원들의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고위 공직자들이 임기를 마친 뒤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다수였던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A 서기관처럼 젊고 유능한 공무원들이 일찌감치 짐을 싸는 경우가 급증하는 추세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양금희(국민의힘) 의원이 산업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산업부를 떠난 공무원은 총 108명에 이르고 2019년 15명, 2020년 14명 수준이던 이직자 수는 2021년 25명, 2022년 27명, 올 9월 현재 27명으로 크게 늘었다. 상당수가 서기관이나 부이사관 등 국장이 되기 전인 3, 4급 공무원들로 올해만 해도 산업부 B 서기관이 한화에너지 전무로, C 부이사관이 현대자동차 상무로, D 서기관이 법무법인 세종 전문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 공무원들의 이직 러시도 만만치 않다. 최근 대통령실 선임행정관까지 역임한 E 부이사관이 삼성전자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식에 기재부 내부가 크게 술렁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근무하던 E 부이사관의 부인 역시 남편에 앞서 민간으로 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영선(국민의힘) 의원이 기재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그만둔 기재부 직원은 129명에 이른다. 2019년 28명, 2020년 22명, 2021년 32명, 2022년 28명, 올 8월 19명 등으로 매년 20∼30명씩 기재부를 떠나고 있다. 특히 이 기간 재직 1년 미만 공무원의 퇴직이 4명, 1∼3년 미만 퇴직이 5명, 3∼5년 미만 퇴직이 3명, 5∼10년 미만 퇴직이 10명 등으로 이른 중도 퇴직자 수가 상당하다.
기재부·산업부 등 엘리트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부처 직원들의 ‘엑소더스’가 가속화하는 것은 이들 부처가 업무량이 과도하고 정권에 따라 부침이 심한 반면, 급여나 워라밸 등 근무 조건은 열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부의 경우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감사·수사가 연달아 이뤄졌고 해임된 경우까지 나왔다.
국토교통부도 ‘에이스’들이 모인다는 주택 분야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통계 조작 의혹에 연루돼 잘나가던 1급(차관보급) 공무원 2명이 ‘직위해제’ 되는 등 된서리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 관가에서는 “국비 유학 등 사실상 세금으로 키운 인력이 대거 민간으로 빠져나가는 만큼 정부 정책 역량이 퇴보할 우려가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